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 5분에서 24시간으로 변경

이미지
  📌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, 대폭 개선! 이제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를 최대 24시간 안에 삭제 할 수 있습니다. 실수로 보낸 메시지를 다음날 새벽에도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. ✅ 삭제 가능 시간: 5분 → 24시간 기존: 전송 후 5분 이내에만 삭제 가능 현재: 전송 후 최대 24시간까지 삭제 가능 삭제 가능한 메시지 유형: 텍스트, 사진, 동영상, 음성, 이모티콘 포함 전체 📱 업데이트 버전: 카카오톡 25.7.0 이상 (기종과 운영체제에 따라 순차 적용 중) 🔒 삭제자 비공개: '누가 지웠는지' 모르게 변경 과거에는 삭제 시 해당 사용자의 말풍선에 “삭제된 메시지입니다”로 표기돼 삭제자를 알 수 있었습니다. 하지만 이제는 채팅창 중앙 피드에만 ‘메시지가 삭제되었습니다’라고 표시 되어 삭제자를 특정할 수 없습니다 . 👥 단체방에서는 삭제자 확인 불가! 1:1 대화방에서는 여전히 상대가 유추할 수는 있음 📷 참고: 다른 기능 개선도 함께 진행 중 📸 2025년 3월 : 사진 전송 수량 30장 → 120장 으로 확대 ⏰ 2025년 6월 : 채팅창에서 바로 예약 메시지 전송 기능 개선 📢 카카오의 공식 입장 "사용자의 실수 정정 기회를 넓히고, 대화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개선입니다." 🔍 요약 구분 기존 2025년 업데이트 후 삭제 가능 시간 5분 24시간 삭제자 표시 발신자 말풍선에 표기 피드에만 표시 (삭제자 비공개) 대상 메시지 텍스트 중심 모든 메시지 유형 📎 관련 기사 출처 [네이트뉴스]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 24시간으로 확대 [다음뉴스] 잘못 보낸 메시지, 24시간 안에 지울 수 있다 [매일경제] 카카오톡, 삭제 시간 24시간으로 확대 📝 마무리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시간 연장이 아닌, 프라이버시...

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· 한도 · 금리 · 이자계산 완벽정리

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
조건 · 한도 · 금리 · 이자계산 완벽정리

요즘 전세금이 너무 올라서 독립을 꿈꾸는 청년들이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.
서울·수도권은 원룸 전세만 해도 1억 원이 기본이고, 월세로 살자니 매달 50만 원 이상이 빠져나가죠.
이럴 때 도움이 되는 정부 정책이 바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입니다.
이 글 하나로 조건, 한도, 금리, 실제 이자 계산까지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.



1.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란?


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청년 전용 전세자금 지원 제도입니다.
시중은행보다 낮은 금리(연 2.2%~3.3%)로 전세 보증금을 빌려주어 주거 안정을 돕습니다.
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적용받으면 최저 1%대 금리까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
2. 신청 자격과 조건

  • 연령: 만 19세 ~ 만 34세
  • 무주택 세대주: 세대원 전원 무주택
  • 소득 (2025년): 미혼 5천만 원 이하 / 기혼 부부합산 5천만 원 이하
    - 2자녀 이상 6천만 원 / 신혼부부 7천5백만 원까지 완화
  • 순자산: 3억 3,700만 원 이하
  • 주택: 전용 85㎡ 이하 & 전세금 3억 원 이하
    - 25세 미만 단독세대주: 전용 60㎡ & 전세금 1억 5천만 원 이하
  • 계약: 계약금 5% 이상 지급 완료
  • 중복: 타 전세자금대출과 중복 불가

3. 대출 한도

  • 최대 2억 원 (전세금의 80% 이내)
  • 25세 미만 단독세대주: 최대 1억 5천만 원
  • 예시) 전세금 1억 5천만 원 → 80%인 1억 2천만 원 대출 가능

4. 금리 및 우대금리

기본 금리 (2025년 기준)

  • 연소득 2천만 원 이하: 2.2%
  • 2천~4천만 원: 2.5%
  • 4천~6천만 원: 2.9%
  • 6천~7천5백만 원: 3.3%

우대금리

  • 한부모·기초수급·차상위: -1.0%p
  • 중소기업 취업자: -0.3%p
  • 전자계약: -0.1%p
  • 다자녀 -0.7%p / 2자녀 -0.5%p / 1자녀 -0.3%p
  • 25세 미만 단독세대주: -0.3%p

5. 이자 계산 예시

예시 1
전세금 1억 5천만 원, 금리 2.2%, 대출 1억 2천만 원(80%)
→ 연이자 1.2억 × 2.2% = 264만 원 → 월 22만 원

예시 2
전세금 2억 5천만 원, 금리 2.5%, 대출 2억 원(최대한도)
→ 연이자 2억 × 2.5% = 500만 원 → 월 약 41.6만 원

예시 3 (우대금리 적용)
예시2 + 중소기업(-0.3%p) + 전자계약(-0.1%p) → 금리 2.1%
→ 연이자 420만 원 → 월 35만 원 (월 6만 원 절약)

6. 신청 방법과 절차

  1. 시기: 잔금일 또는 전입일로부터 3개월 이내
  2. 온라인: 기금e든든(주택도시기금)에서 신청
  3. 오프라인: 우리·국민·신한·하나·농협·부산은행
  4. 절차: 자격 확인 → 임대차 계약 → 사전 자산심사 → 보증서 발급 → 대출 실행


※ 본 글은 2025년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실제 조건과 금리는 정책 및 금융기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원스토어 카카오톡 지원중단 해결방법

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 5분에서 24시간으로 변경

출국납부금 환급 신청 방법 (대상·금액·기간 총정리)